가맹사업법 개정안 30 국회 본회의 통과 

 

국내 가맹본부의 평균 가맹사업 기간도 5년이 채 안된다. 

영세 가맹본부의 경우 가맹점 오픈 인테리어 백마진, 초기 소멸성 가맹금을 챙기고 향후 관리에서 나몰라라식의 먹튀 사례 등이 있었습니다.

본사는 제빵 기사에게 업무를 지시할 권한이 없음에도, 빵 품질과 매장 관리 등의 사사로운 업무를 메신저 앱으로 지시해왔다는 것이죠.

 

이러한 임금꺾기와 불법 파견을 한 의혹이 제기돼, 고용노동부는 지난 11일부터 파리바게트에 대한 근로감독에 들어갔습니다

수수료율의 문제가 아니라, 가맹점 사업자의 동의나 정당한 근거 없이 가맹점 사업자에게 전가한 행위가 문제가 된 것이고요.

그간 만연했던 가맹본부 갑질 사태에 대해 문재인대통령의 공약, 갑질 척결 의지가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의 취임이라는 정세의 변화, 공정거래위원장 취임 직후 공정위 조직혁신, 업무처리 요구가 있었고요.

공정위로부터 시정을 위한 교육이수명령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출처: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71027000769>

 

결론 상생 모두가 윈윈할 있고, 글로벌 기업으로의 도약>>

가맹점 권익 보호로 상생

중요한 것은 갑질 근절 이후다. 갑질만 사라질뿐 번영하지못하면 무의미하다







프랜차이즈 갑질의 문제점

  1. 프랜차이즈 개념 본사의 인식 문제

-실제 선진국은 본사의 수입 대부분이 로열티지만, 국내에서는 식자재 등 유통과정에서 본사가 마진을 챙기는 식으로 고정수입을 얻는 경우고 많고요.

-물론 로열티제도 확산이 제도의 질적 개선으로 평가될 수 있으려면, 그 전제로 가맹본부가 브랜드 노하우 등 지적재산에 대한 사용료를 받을 만한 자격이 있는지 철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일정 기간 직영점을 운영한 경험, 가맹점 관리, 물류, 메뉴개발 등 시스템이 체계화되어 지적재산 사용료를 받을 자격이 있는 본부에게만 가맹점 모집권한을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죠.

한 예로 이탈리아, 중국 등 상당 수 국가는 가맹본부가 최고 1년 이상 직영점을 운영해야 2개 이상 가맹점을 모집할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2. 프랜차이즈 구조

개인사업자인 프랜차이즈 본사는 법인이 아니라서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재무제표, 감사보고서 등을 전자문서로 공개할 의무가 없습니다.

프랜차이즈 분쟁조정 절차를 다루는 ‘한국공정거래조정원’은 ‘비밀 유지’라는 조항으로 기업명이나 대차대조표 및 손익계산서 등을 공개하지 않기도 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의 경우는 행정제제로 기업명 공개 가능)

프랜차이즈 본사가 정확한 정보를 공개하지 않는 상황이 이어진다면, 불공정 관행이 근절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광고비 측정 불가,판촉, 할인 비용, 인테리어 비용 떠넘기기….. 감시 불가 >마진, 매출액

  3. 공정위의 실질적 의지 혹은 구조적 문제

 지난해에만 600여건이 접수될만큼 가맹사업 분쟁은 증가일로다. 하지만 최근 3년간 공정위의 가맹본부 검찰고발은 한건도 없다. 지난해 6 백화점들이 더는 갑질을 하지 않겠다며 거래관행 개선방안 발표했지만 아직도 조사할때마다 인테리어 비용과 판촉행사비 부당 전가, 판매수수료 불법 인상, 판촉사원 부당 파견 위반 사실이 무더기로 적발된다. 일손부족이나 규정미비로 없는 대목이다. 오죽하면 공정위가 불공정 관행들을 의도적으로 눈감아 아닌지 감사원이 감사에 나섰겠는가

   

 5. 불공정한 계약

갑질을 당하다 도저히 버티지 못해 해지하고 싶어도 쉽지 않습니다. 만약 계약을 해지하면 같은 자리에서 개인 사업장이나 같은 업종의 다른 프랜차이즈 영업을 할 수 없습니다. 본사가 가맹점주를 대상으로 ‘영업기밀 및 상표권 위반’ 등으로 민사소송을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프랜차이즈 본사와 가맹점주 간의 거래는 시작부터 끝까지 대부분 불공정하게 되어 있습니다. 이는 ‘갑질’이 비정상적인 구조에서 비롯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본사와 가맹점의 소통 부족??

- “각 업체 고유의 품질을 내기 위해 꼭 써야하는 원자재가 있다”며 “동종 제품보다 비싸더라도 특유의 품질을 내기 위해 필수적인 것인데 이것이 폭리의 수단으로 비춰져 안타깝다”고 밝혔다. 

 

이에 전문가들은 이같은 오해와 관련해 가맹본부와 가맹점주간 원활한 소통과 체계적인 노하우 전수를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원자재 가격 논란도 결국 가맹점 창업시점에 충분한 교육과 노하우 전수가 이뤄졌다면 불거지지 않았을 문제라는 것이다.





자생적 해결책-한국프랜차이즈 협회를 중심 & 완전한 자구책-착한기업


  •  프랜차이즈업계는 협회를 중심으로 자정 노력을 계속해달라는 주문을 했다. 김상조 공정거래위원장은 이날 “가맹점주협의회를 구성해 거래조건 협의권을 보장해 점과 필수품목에 대한 리베이트 비율 정보공개 강화, 가맹점주의 계약갱신 요구권을 무기한으로 인정해 등에 대해 매우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먼저, 프렌차이즈산업협회는 ‘불공정거래 예방센터’를 설치해 본부와 사업자 사이의 조정 역할을 담당한다. 조정을 거부하면 가맹본부 명단을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이를 공정거래위원회에 통보할 방침이다. 가맹본부 횡포의 도구로 쓰였던 ‘필수품목’을 최소화하기 위한 자정 노력도 기울인다. 필수품목은 가맹점이 가맹본부에서 꼭 사야 하는 품목이다. 이 품목은 브랜드 품질이나 서비스 동일성 유지에 필요한 물품만을 지정하도록 했다. 이 대책의 실천을 위해 협회는 ‘필수물품 지정 중재위원회’를 신설한다.

장기적으로는 가맹점의 수익에 따라 가맹본부에 내는 수수료가 달라지는 ‘러닝 로열티 제도’를 확산한다는 계획을 내놓았다. 또 가맹점 사업자의 10년 계약 갱신 기간을 없애고 사업자가 계약 기간 상관없이 갱신 요구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했다. 가맹본부 경영 악화로 가맹점이 입는 피해를 방지하고 보상하기 위해 ‘프랜차이즈 공제조합’을 세운다.

가맹점의 목소리를 가장 빠르게 듣는 수퍼바이저도 큰 역할을 맡고 있다. 탐앤탐스는 각 수퍼바이저가 담당하는 매장 중 1개 매장을 선정해 매출 상승을 도모하는 ‘매출 집중 관리’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  <<<<>>>> 무엇보다 협회의 혁신안 대정부 관련한 내용들이 공정위의 불만을 우려해 사라졌고, 강제성도 없다는 점에서 자정안의 실효성에 대해 여전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부당한 필수물품 강요금지 문제나 가맹점주단체 구성·협상권 등 강화, 가맹계약 갱신요구권 10년 제한 삭제 등 그 동안 만면한 문제들을 인정하고 개선해야 된다는 공감대 이외에 실효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없다”며 “결국 법제도를 정비하는 것이 지름길”이라고 꼬집었다. 

 

  •  ‘착한 창업’을 진행하는 브랜드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들은 “이 같은 트렌드를 계속 확대해나갈 경우 법이 아니라 업계 자율적으로 얼마든지 규제가 가능하다”고 목소리를 높혔다. 

- 중소기업청으로부터 이익공유형 프랜차이즈 기업으로 선정됐다. 이익공유형 프랜차이즈 사업이란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와 가맹점간 이익의 공유방식을 미리 협동조합정관‧가맹계약서에 ‘이익공유 계약항목’으로 명시해 이익을 서로 나누는 프랜차이즈 육성사업이다. 부엉이돈까스가 준비하고 있는 사업은 CK(Central Kitchen) 공장 설립으로 발생되는 소스의 제조 원가 절감에 따른 수익을 가맹점과 나누는 것과 매년 당기 순이익의 10% 다음 년도 가맹점들의 마케팅 비용과 물류지원 예산으로 편성해 지원한다는 2가지다. 

-수제초밥으로 유명한 스시노백쉐프도 최근 가맹점주 가맹본사 직원과의 소통, 예비창업자들에게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공정창업 플레이스 더매칭과 업무협약(MOU) 체결했다. 창업 적성과 진단을 받아 창업 실패율을 최소화할 있고, 본사 직원과 슈퍼바이저 등의 성향과 적성도 파악해 가맹점주와 가장 최적의 합을 이룰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다. 스시노백쉐프 관계자는 “가맹점주의 리스크를 최소화함으로써 가맹점의 성장을 돕기 위해 업무협약을 체결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법과 제도의 보완-

 

 계약 - 가맹본부에 가맹사업의 명성 유지,관리 의무를 부과하고, 가맹본부 귀책으로 가맹점사업자 손해가 발생 가맹계약서의 해당 배상책임사항을 필수 명기하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가맹점주 동의하에만 제휴할인 판촉행사를 있고, 부도덕한 행위로 브랜드 이미지를 훼손한 오너나 임원은 가맹점의 매출 손해를 배상해야 한다. 집행 -문제는 집행의 실행력이다. 그건 공정위의 의지다.

 제도를 통한 투명성 확보- 앞으로 가맹본부는 납품업체로부터 받은 판매장려금(리베이트)은 물론 필수품목 마진과 가맹사업 과정에 참여하는 특수관계인의 업체명, 매출액 등도 모두 공개해야 한다.  가맹점단체가 본사와 대등하게 협상에 나설 수 있도록 법적 지위도 강화된다.

법적 보완- 공정위에 신고했다는 이유로 가맹점에 계약해지 등 보복을 하면 최대 3배의 손해배상 책임을 지우는 등 안전판도 마련된다. , 물품 마진 공개

 

 공정한 프렌차이즈의 완성이고 ‘불공정위’라고 지탄받던 공정위가 ‘공정상생진흥위’로 거듭나는 길이다.

정리:

국가보조금이 '눈먼 '이라는 오명을 거머쥐게 이유는 가지이다

첫째, 간단한 서류심사를 통과하면 우선 지급하고 추후 실사하는 시스템 때문이다. 이로인해 먼저 받으면 임자라는 식의 생각이 만연해 있다. 둘째, 적발 약한 처벌규정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걸리면 마는 식의 풍토가 만연해 있습니다.

     1. 사전 관리뿐만 아니라 사후 집행 단계에서도 관리를 해야 한다. 또한 정부 인력 부족 차원에서 집행과정를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민간의 감시 가능하게.

  1. 정부의 조사권과 관련 전문인력 확보




실질적으로 100조원 규모라는 국가보조금에 대해 이른바 '눈먼 돈'이라는 인식이 퍼

져 있다. 정부가 매년 막대한 규모의 보조금을 풀면서도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인식에서다. 

 

출처: <http://www.fnnews.com/news/201412041719198147



사기 방식도 지능화ㆍ다양화하는 추세이지만 적발되더라도 처벌은 지급정지나 영업정지 등 행정처분에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검찰 관계자는 “일정 서류만 갖춰 신청하면 우선 지급하고 추후 실사하는 국가 보조금 체계의 맹점을 노려 부정수급 비리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신청 내용의 적정성에 대한 실사를 전담하는 전문위원을 확대하는 등 보조금 전반의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출처: <http://www.hankookilbo.com/v/e55e35843e394b34b3af48a9eb50e9cb>

 

다. 이곳에서는 앞으로 1년간 ‘눈먼 돈’으로 불리는 국고보조금을 24시간 통합·감시할 수 있도록 각 부처와 지자체에 흩어진 보조금 관련 시스템을 통합하는 작업이 이뤄집니다.

 

2017년 상반기에 통합이 마무리되면 그동안 15일 걸리던 보조금 정산시간이 하루로 줄어 실시간 처리가 가능해집니다. 보조금을 목돈으로 한번에 주지 않고, 필요할 때마다 건넬 수 있으니 남은 돈을 은행에 맡기면 이자도 생깁니다. 무엇보다 누가 얼마의 보조금을 왜 가져갔는지 인터넷으로 국민 모두가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기재부 관계자는 “보조금 사냥꾼을 블랙리스트로 관리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시스템이 완비되더라도 ‘공돈’을 노리는 이들의 음흉함에 맞서 혈세를 내 돈처럼 악착같이 챙길 공무원들이 갑자기 샘솟진 않겠지요. 중소기업 보조금 실태를 조사했던 한 공무원이 “지방 토호세력과 공무원, 전문가들의 짬짜미도 적잖았다”고 귀띔하던 기억이 선명합니다.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151106002847



“이제는 관리·감독기관도 보조금 지원에만 머물지 말고 정부 보조금이 투명하게 집행되는지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익위 관계자는 “어지간한 횡령·편취 노하우는 업계 전체가 공유하고 있어 형식상으로는 문제 될 것 없이 서류를 꾸민다”면서 “공무원 중에 IT 전문가가 많지 않다 보니 내부자 제보가 아닌 이상 이들을 적발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 또 다른 권익위 관계자는 “정부 R&D 보조금 편취는 정산서류 조작과 직원 허위 등록, 보조금 목적 외 사용 등 유형이 거의 정해져 있다. 우리에게 조사권만 있어도 쉽게 찾아낼 수 있겠지만 지금의 권한으로는 심증이 있어도 이를 확인할 수 없다”고 전했다.

 

이창원 한성대 행정학과 교수는 “공무원이 수많은 업체의 R&D 과정을 일일이 관리감독한다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운 만큼 이제부터라도 보조금 지원 과정 전체를 공개해 누구든 이를 검증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 “업체들 역시 연구 결과물에 책임을 지게 해 (보조금만으로 생존하려는) 도덕적 해이를 차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출처: 서울신문에서 제공하는 기사입니다.]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70804011004&wlog_tag3=naver#csidxb7cac47c7b5460cb80df8a72f526c80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이 25일 "올해 말까지 식사와 선물, 경조사비 상한액을 5·10·5만원으로 개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대목은 주목할 만하다

 

출처: <http://opinion.mk.co.kr/view.php?year=2017&no=650081>

 


 

 

 

이번 공무원 행동강령 개정안에 신설된 규정으로는 ‘사적 노무의 요구 금지’가 있다. 최근 발생한 ‘공관병 갑질’ 사건과 같이 공무원이 영향력을 행사해 부하직원이나 직무관련 업체에 개인적인 업무를 시키거나 제공받는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민간부문에 대한 부정청탁 금지 규정도 신설됐다. 부정청탁 및 금품수수 금지법(김영란법)으로 공직자에 대한 부정청탁은 금지됐으나 공직자의 민간에 대한 부정청탁은 관리의 사각지대로 지적된 데 따른 것이다.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171031005701>

 

중소기업(하청)의 기술 등을 가로채는 대기업의 ‘갑질’을 막는 대책도 마련된다. 

 

더불어민주당과 공정거래위원회는 최근 당정 협의를 갖고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을 위한 기술 유용행위 근절 대책’을 발표했다.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171031005701>

 

당정은 연말까지 공정위 안에 기술유용 사건을 전담으로 조사하는 조직(TF)을 신설하고 변리사와 기술직 등 전문 인력을 배치하기로 했다. 또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기술심사자문위원회’도 설치하기로 했다. 공정위는 이어 매년 ‘집중감시업종’을 선정, 대대적인 직권조사를 실시한다는 계획이다. 직권조사 대상에는 주요 대기업이 포함된다. 

 

우원식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중소벤처기업부의 기술탈취 실태 조사 결과를 인용, “최근 5년간 중소기업의 기술 탈취 피해 금액이 1조원에 달한다”고 말했다. 새 정부의 ‘적폐청산 1호’로 지목된 프랜차이즈 업계도 자정안을 내놓았다.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171031005701>

 

김 후보자는 장관이 되면 해결해야 할 과제로 쌀값 폭락과 가축전염병, 가뭄 등을 꼽았다. 그는 쌀값 폭락 해결 방안과 관련해 “쌀 공급 과잉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안이 생산조정제 실시”라며 “내년에 반드시 이 제도를 도입해 우선 5만㏊에 적용하고, 그다음 해에는 10만㏊로 확대하겠다”고 구체적인 계획을 밝혔다.

 

문재인 대통령 대선공약이기도 한 생산조정제는 벼 농가가 다른 작물로 바꿔 농사지을 때 정부가 보조금을 지원하는 제도다. 그는 이를 위해 농식품부가 현재 기획재정부에 1500억원의 생산조정제 예산 요청안을 제출했다고 덧붙였다. 재임 기간 중 현재 가마니(80㎏)당 12만원대까지 떨어진 쌀값을 18만원대 이상으로 올리겠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170628003598>

 

그는 물관리 공급체계를 다시 수립하고, 물부족 지역의 종합적인 정비 계획을 세워 극심한 가뭄에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질병도 근본적인 방역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한국당 권석창 의원이 최근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마리당 2만원 가까이 치킨 가격을 인상한 데 대한 대책을 묻자 “닭고기의 생산·유통 단계마다 가격 공시를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AI 여파로 폭등한 계란값과 관련해서는 “계란값 안정을 위해 추석 전까지 비상수단을 강구하겠다”며 “산란계의 생산 기반을 조기 회복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170628003598>

 

그는 물관리 공급체계를 다시 수립하고, 물부족 지역의 종합적인 정비 계획을 세워 극심한 가뭄에 대처하겠다고 밝혔다.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등 가축질병도 근본적인 방역대책을 수립해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한국당 권석창 의원이 최근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마리당 2만원 가까이 치킨 가격을 인상한 데 대한 대책을 묻자 “닭고기의 생산·유통 단계마다 가격 공시를 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겠다”고 답했다. AI 여파로 폭등한 계란값과 관련해서는 “계란값 안정을 위해 추석 전까지 비상수단을 강구하겠다”며 “산란계의 생산 기반을 조기 회복하려 한다”고 설명했다.

 

출처: <http://www.segye.com/newsView/20170628003598>

 

깨끗하고 투명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제도에 이의를 제기할 생각은 없다. 다만 잠재적 범죄자를 양산할 수 있는 조항은 현실에 맞춰 고치는 게 온당하다. 금품수수 한도액인 ‘3만·5만·10만원’ 조항은 추석을 앞둔 농수축산 종사자에게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출처: <http://www.sedaily.com/NewsView/1OJXE2Z0J4>

 

깨끗하고 투명한 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제도에 이의를 제기할 생각은 없다. 다만 잠재적 범죄자를 양산할 수 있는 조항은 현실에 맞춰 고치는 게 온당하다. 금품수수 한도액인 ‘3만·5만·10만원’ 조항은 추석을 앞둔 농수축산 종사자에게 적지 않은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출처: <http://www.sedaily.com/NewsView/1OJXE2Z0J4>

 

김인석 대한상의 기업문화팀장은 “청탁금지법 시행으로 사회 전반에 긍정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소상공인 매출 감소 등 부작용을 최소화하면서 사회가 한 단계 발전할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http://www.sedaily.com/NewsView/1OMFFES4FK/GK010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