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출판(윤정미)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 본문 한글파일
<출처>
https://www.bookdonga.com/textbook/extradata_list.donga
동아출판 교재 홈페이지
교재에 대한 충실한 안내, 풍부한 학습자료, 교재 학습의 완성 스마트러닝 등을 제공하는 대표 홈페이지
www.bookdonga.com
#중학교2 #영어교과서
동아출판(윤정미)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 본문 한글파일
<출처>
https://www.bookdonga.com/textbook/extradata_list.donga
동아출판 교재 홈페이지
교재에 대한 충실한 안내, 풍부한 학습자료, 교재 학습의 완성 스마트러닝 등을 제공하는 대표 홈페이지
www.bookdonga.com
#중학교2 #영어교과서
Edited by Jennie,
요즘 코로나로 여행도 못가고, 방콕 중에
코로나 전에 갔다온 제주 여행을 포스팅(두 번째 제주여행)
(제주도는 여행경비가 해외 여행랑 차이가 없어!! 가기 힘든 곳이지만,, 안탑깝지만 코로나로 인해 싸게 갈 수 있었음)
처음 계획은 위의 지도와 같이 잤지만, 역시 여행이란... 모르는 법....
(사실 3박 5일을 저렇게 가는 건 비효율적... 그냥 저번에 서쪽을 못 가서 탐방차 하루를 쏟아부음)
주의! 취향이 다소 아재 취향 ㅋㅋㅋㅋ
<실제 일정>
비행기(왕복) : 47,000원
※렌트비용 : 3일, 40,720원 - 렌트를 (저녁 늦께)도착 다음날 아침으로 함
!!!돌하루팡에서 싸게 예약!!!
처음 여행하는 거면 2, 3일차 때 우도를 가는 거 추천
1일차 저녁 도착 : 제주시 시내 투어
- 숙박 : 제주오리엔탈 호텔, 52,675원(-10,000원 가능, 야놀자, 페이코 할인 쿠폰), 9시 이전 도착을 목표
- 활동 : 주변 해안가 및 제주동문시장
- 석식 : 제주동문시장, 야시장 음식 ㅋㅋ (카드 됌!!)
2일차 : 서쪽 탐구
※ 자유롭게 즐기며 활동
- 아침 : 자매국수
- 활동 : 바다 구경,,,,,
-> 가는 길 스타벅스(제주외도DT점, 바다 보이고 DT도 되고) _ 제주 시그니쳐 쪽쪽
-> 협재해변 -> 오설록
- 석식 : 신라원중문점(말고기) ※ 064-739-3395, 코스(1인당, 35,000원) <- 못 먹음 ㅜㅜ (스벅, 오설록에서 넘 많이 먹어서)
야식 : 바다 보면서 방에서 치맥(교촌 치킨)
- 숙박 : 더쇼어호텔제주(1박-121,900원(싼값에 겟), 수영복 필수, 조식은 패스 구려보임) _ 데일리호텔 앱에서 예약!
3일차 : 자연 및 캠핑
- 활동 : 산방산 유채꽃밭(걍)
- 중식 : 중앙식당 ( 보말미역국!!!!!_ 건강식) 산방산 유채꽃밭 가는길에 있움!
- 오후 활동: 사려니숲길(겨울이여서 조금 별로...?... 여름에는 너무 좋은 피톤치드 좔좔), 아줄레주 카페 가기
-> 사진찍기에 너무 예쁜 카페, 에그타르트도 존맛탱
- 숙박 / 석식 : 제주캠핑카라반 표선점 / 바베큐(1박-45,000원 / 2인 2만원, 캠핑장 근처 마트가서 구입-흑돼지!!)
※ 해변 바로 앞에 위치하여 산책 및 바다 구경 가능, 아침에 산책
-> 숙박 후기는 호불호가 있는데, 뭐 나쁘지 않음
4일차(21일) : 메이즈랜드, 비자림숲
- 중식 : 공새미59 (맛좋음)
- 오후 활동 : 메이즈랜드, 비자림숲(밥먹고 산책할 정도?,, 여기 입구 옆에 한치빵 존맛탱)
- 저녁 : 우진해장국(비주얼은 개밥인데 넘 맛있엉) _ 앞에 공영주차장 있음
5일차는 육지로....
모두 코로나 조심하시고, 얼른 코로나가 종식 되기를 기원합니다.
방콕에서 씨엠립- 앙코르와트 (버스 가는 방법), 캄보디아 비자 (0) | 2018.12.29 |
---|---|
대만 자유여행 4박 5일 일지-01 (0) | 2018.10.07 |
이탈리아 여행하기, 추천- 마테라(Matera), 중심지까지 가는 방법 (0) | 2018.07.07 |
인도여행 라다크 지방 - 레 (하늘 위의 호수 판공초, 창라, 고산병) (0) | 2018.07.04 |
제주도 여행 & 가볼만한 곳 (우도, 캠핑, 사려니숲길) (1) | 2018.06.29 |
공무원 면접과정은 우선
이런 식으로 진행
다음으로 면접 질문유형으로는
P.S. 꼭 행정직과 기술직 면접 질문이 다르다고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듯? (질문이 섞여 있음)
1) 경험 기술서
Q. 예를 들면 어떤 일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차별받은 경험있는지? 이에 대한 나의 대처와 결과?
2) 상황 기술서
Q. 보호가치가 있는 나무가 있는데, 도로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에게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A. 무조건 보호가치가 있다고 나무를 지켜야 된다는 답변은 좋지 않다. 그리고 물론 자기가 가고 싶은 부처에 따라 다르게 답변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예를 들면, 환경부는 환경을 중시(?)해야 하기 때문에 나무를 보호해야 하지만, 국토부는 균형있는 ' 국토의 효율적이고 균형있는 이용·개발과 보전'이라는 헌법적 가치를 수호해야 하기 때문에 양자를 비교해야 한다고 본다. 양자를 비교한다면, (1) 보호가치가 있는 나무에 대한 정의가 있어야 한다. 보호가치가 있는 나무에 대해 기준을 나눈 뒤, (2) 도로의 경제적 가치를 비교한다. 그리고 이를 우회하여 도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확인한다. 등등
2) 상황 기술서
Q. 전파음영지대 해소하기 위한 기지국 설치 의무화 추진 중인데, 전자파의 유해성과 안전성을 우려하여 주민들은 자율화를 요구한다. 담당 주무관인 나의 대처는 무엇인가?
A. 여기서 고려할 사항은 '주민들에 의한 자율화'이다. 더이상 관치행정이 아닌 주민들에 의한 자율적 행정을 어떻게 볼지. 국민을 위한 정부라는 현정부의 프레임과 맞물려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무조건 주민들에 의한, 소위 주민행정을 해야한다고 답변하면 안 된다. 주민들에 의한 자율화 또한 문제점이 있다.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부분을 자율화 한다면 그건 해결보다는 오히려 더 큰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만약 담당 주무관이라면 해당 사안을 균형잡힌 시각으로 봐야 한다고 본다.
3) 개별 질문
Q. 지원 부처와 알고 있는 정책?
Q. 그 중 고치고 싶은 정책?
Q. 신기술 습득 방안?
PT문제
Q. 평균 수명이 늘면서 정년을 연장시켜야 한다는 주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에 따를 경우, 고령자가 퇴직을 하지 않게 됨으로 신입 사원의 채용 기회가 줄어든다. 그렇다면 이는 또다른 청년실업을 낳고, 세대갈등의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그렇다면 정년 연장에 대한 면접자의 입장은?
Q.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노인기준(65세 이상)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노인(65세 이상)이 되면 다양한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데, 평균 수명이 늘어남에 따라 점점 더 많은 사람이 복지 혜택을 받고 있다. 수혜자의 증가는 세수 부담으로 이어진다. 더군다나, 저출산에 따라 생산가능인구가 점점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세수 부담은 사회적 갈등으로 표출될 수 있다. 노인기준연령 상향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면접자의 입장은?
-끝-
2018 7급 국가직 공무원 면접 기출문제(집단토의) (1) | 2018.07.17 |
---|---|
공무원 면접 주제 관련 자료 찾는데 도움되는 사이트 (0) | 2018.03.02 |
(공무원 면접 주제, 상식) 근로 시간 단축 68시간 -> 52시간 (0) | 2018.03.02 |
(공무원 면접 준비, 주제, 상식) 미세먼지 원인, 문제점, 해결 방안 (0) | 2018.02.24 |
(공무원 면접 대비)공무원의 창의적 사례 (0) | 2018.02.21 |
선거제도란
선거와 관련된 모든 규칙을 다루는 선거법의 일부로서 투표가 의석으로 전화되는 과정과 관련된 일련의 규칙을 의미한다.
종류
대표적인 제도를 위주로 설명
1. 다수대표제
1) 단순다수제(!위 대표제) - 득표율과 상관없이 후보 중 가장 많은 득표를 얻는 후보가 당선되는 제도이다. 따라서 과반이 아니더라도 당선될 수 있기 때문에 대표성과 정당성에서 문제점을 갖는다.
2) 결선투표제 - 일차 투표에서 일정한 조건(과반)을 넘지 못한 경우, 상위 후보를 대상으로 이차 투표를 실시하여 과반수의 지지를 통해 최종 당선자를 결정하는 제도이다. 이는 단순다수제의 대표성과 정당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제도이다.
3) 전면적 선호투표제(대안 투표제) - 투표자의 수만큼 유권자가 모든 선호를 표시하고 과반의 지지를 얻으면서 가장 많은 수의 득표를 얻는 후보자가 당선되는 제도이다.
2. 비례대표제
1)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정당에서 제공한 후보명부에 대해 유권자들이 투표하여 당선자를 결정하는 선거제도
2) 단기비이양식 비례대표제
3. 혼합대표제
1) 병립식 비례대표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 중인 1인 2표 방식(지역구, 비례대표)의 제도이다. 즉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독립적으로 각각 투표하여 뽑는 방식을 말한다.
2) 융합식 비례대표제 = 연동형 비례대표제
2018/12/26 - [공무원 시험/그 외 과목] - 연동형 비례대표제란?(융합식 비례대표제, 독일식 비례대표제) 정의, 특징
P.S.
현재 우리나라 선거제도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학자들, 언론인, 그리고 정치인들 또한 공감하는 바이다. 정치인들 또한 공감하지만 자신의 기득권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선뜻 동의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선거제도의 개편이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는 시대적 흐름인 만큼 국민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다면 국회의원들 또한 찬성할 수밖에 없다.
교차압력의 개념 (0) | 2018.12.29 |
---|---|
연동형 비례대표제란?(융합식 비례대표제, 독일식 비례대표제) 정의, 특징 (0) | 2018.12.26 |
석패율 제도 (정의, 장단점) (0) | 2018.12.15 |
단순다수제와 결선투표제의 적실성 (0) | 2018.10.26 |
CPI and GDP deflator differences (0) | 2018.10.23 |
조동사 - 동사에 도움을 주는 동사
- 이를 통해 화자의 마음, 분위기, 시제 등 표현의 섬세함을 더해 준다.
능력 |
can, could |
허가 |
can, could, may, might |
의무, 필요 |
must, should, ought to, need |
의지, 소망 |
will, would, shall, may |
과거의 습관 |
used to, would |
가정 |
would, could, should, might |
can의 과거는 could / may 과거는 might 등등 이런 식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형태만 과거일 뿐 의미는 꼭 과거가 아니다.
그러면 과거형을 사용하는 이유는?
1) 공손함을 나타내기 위해
2) 과거 의미 사용 (이 경우 전체 문맥이 과거일 경우 과거 시제 사용은 과거를 나타낸다)
3) 가정법 사용
그러면 조동사의 과거는 무엇으로 표현할까?
조동사 + have + p.p 로 한다.
used to 와 would 의 차이 (0) | 2018.12.31 |
---|---|
관계사, 관계대명사 정리 & 표 (기본) (0) | 2018.11.11 |
many a 단수명사 단수동사 / many 정리 (0) | 2018.11.10 |
불가산 명사 - 시험 출제 (0) | 2018.11.10 |
lest (should) 의미, 용법 정리 (0) | 2018.11.07 |
☆★과거의 습관을 타나내는데
used to - 현재는 하지 않는 과거의 습관
2018/09/18 - [영어공부/영어 일반 & 영어단어] - used to 총정리 (used to, be used to ~ing, be used to 부정사)
would - 현재는 어떤지 모르고 그냥 과거의 습관을 나타냄
Before moving to this place, I used to walk to work.
(지금은 걸어다니지 않음)
Whenever I felt sad, I would visit my uncle.
(지금은 모름)
☆★화용론적 관점 - 실제 전체적인 문맥(담화)에서 쓰임새
-처음에 used to를 사용하여 과거를 나타내고 그 다음 기술할 경우 would를 사용
The bad thing was they used to laugh at us. The Anglo kids. They would laugh because we’d bring tortillas and frijoles to lunch. They would have their nice little compact lunch boxes with cold milk in their thermos and they’d laugh at us because all we had was dried tortillas. Not only would they laugh at us, but the kids would pick fights.
We used to joke about him in the office. We’d call him Mr. Straight because he was Mr. Straight- a man who’d never invite me to have a drink after work. He would never invite me to lunch alone. Would never, never make an overture to me.
(Suh, 1992)
조동사(helping verb, modal, auxiliary verb) 개관 (0) | 2019.01.01 |
---|---|
관계사, 관계대명사 정리 & 표 (기본) (0) | 2018.11.11 |
many a 단수명사 단수동사 / many 정리 (0) | 2018.11.10 |
불가산 명사 - 시험 출제 (0) | 2018.11.10 |
lest (should) 의미, 용법 정리 (0) | 2018.11.07 |
- 상충되는 사회적 압력에 처한 개인의 정치적 행위에 대한 연구에서 ‘교차압력(cross-pressure)’
상반된 사회적 영향의 효과는 개인들에게 갈등적 이슈들에서 동요와 무관심 등을 가져온다.
선거제도의 종류, 정의- 개괄 (0) | 2019.01.05 |
---|---|
연동형 비례대표제란?(융합식 비례대표제, 독일식 비례대표제) 정의, 특징 (0) | 2018.12.26 |
석패율 제도 (정의, 장단점) (0) | 2018.12.15 |
단순다수제와 결선투표제의 적실성 (0) | 2018.10.26 |
CPI and GDP deflator differences (0) | 2018.10.23 |
방콕에서 씨엠립으로 가는 방법은 여러가지인데요
(카지노버스타고 가는게 가장 싸다고 하는데....)
그 중에 가장 무난한
Mo Chit 2 Bus terminal
모치 터미널
방콕의 고터라고 할 수 있음!
그냥 버스 터미널로 가서
'씨엠립' '씨엠립'~
몇 번 외치면 알아서 표를 줘요 ㅋㅋ
시간 확인을 잘 해야 돼요
저녁에는 비자 업무를 안해서
아침에 출발하는 버스밖에 없어요
그리고 팁으로
전세계 어디든
길 동선 찾을 때 유용한 사이트
가격은 (태국돈) 1,440
무려 10시간 정도 걸려요.
물론 비자 통과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어요!
아침에 출발해서 저녁 쯤에 도착해요
가는 길목
중간에 휴게소
고단백질 영양식품인
벌레 튀김이...메뚜기 등등
먹지는 못했고ㅋㅋ
이곳은 국경을 넘는 관문
디게 허술해서 그냥 도망가도 모를 정도..
국경이어서 그런지 여러 상인들로 시끌벅적
캄보디아에서 비자 받을 때에는
무조건 달러로!!!
태국 돈으로 했다가는 바가지 환율
30$? 정도 인가 해요
비자를 받았으면 다른 일행들이 비자 받을 때까지 기다려야 하고
버스가 국경 통과 검사를 마칠 때까지 기다려야 해요.
갈 때는 버스가 빨리 통과해서 금방 갔는데...
돌아올 때.... 버스 도망간 줄
재밌는 건
국경에 카지노가
캄보디아 국경을 넘어
캄보디아 풍경
얼핏 보면 우리나라 시골인줄?
버스 정류장에 도착하면
버스 회사에서
뚝뚝 기사들이 무료로 태운준다고 할 꺼에요.
여기서 무료는 앙코르 와트 호갱을 위한 포섭작전...
호텔까지 태워주면 그냥 1~2$주고
앙코르와트 투어 예약했다고 하세요.
씨엠립의 메인 스트리트!
캄보디아에서 방콕으로 다시 가는 건... 똑같은데
비용이 더 비쌈.ㅜ.ㅜ
(JEJU)4박5일 제주 여행일정, 비용 - 렌트, 가볼만한 곳, 숙박, 맛집, 카페 (※ 코로나 확산 이전)(사려니숲길/비자림숲/메이즈랜드 등등)/(오리엔탈리뷰/더쇼어호텔제주/캠핑카)/제주도맛집(동문.. (0) | 2020.03.22 |
---|---|
대만 자유여행 4박 5일 일지-01 (0) | 2018.10.07 |
이탈리아 여행하기, 추천- 마테라(Matera), 중심지까지 가는 방법 (0) | 2018.07.07 |
인도여행 라다크 지방 - 레 (하늘 위의 호수 판공초, 창라, 고산병) (0) | 2018.07.04 |
제주도 여행 & 가볼만한 곳 (우도, 캠핑, 사려니숲길) (1) | 2018.06.29 |
연동형 비례대표제 = 융합식 비례대표제 = 독일식 비례대표제
비례대표제란 유권자의 득표에 따라 비례적으로 대표를 선출하는 방식이다. 이는 모든 유권자의 의사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대표성이 뛰어 나지만 군소 정당의 난립으로 인해 원활한 의사진행이 힘들 수 잇다. (독일의 나치당이 대표적인 예이다. 히틀러의 집권을 계기로 독일은 소위 봉쇄조항이란 걸 실시한다. 봉쇄조항이란 봉쇄, 즉 군소(작은) 정당을 막기위한 조항으로 독일 나치당과 같은 극단주의 정당의 원내 진입을 막기위한 장치이다.)
비례대표제의 유형으로는 여러가지가 있다.
순수비례대표제, 병립식 비례대표제 등등… 여러가지가 있다. 기억이 안 나서 더 이상 못 적겠다.
그중 현재 국회에서 추진 중인 연동형 비례대표제에 대해 알아보겠다.
현재 우리나라는 병립식 비례대표제를 채택하여 지역구 의원 + 비례대표의원을 각각 따로따로 뽑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1) 정의 및 의의
지역구 의원과 비례대표의원 즉, 1인 2표를 행사한다는 점에서 현행 제도와 비슷하다. 그러나 의석 산출 방식을 각각 독립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비례대표의 정당 득표율을 바탕으로 전국 단위의 의석을 산출한 뒤 그 비율만큼 지역구 의원을 먼저 채운 뒤 그 다음 나머지 의원을 비례대표로 채우는 방식을 의미한다. (전국 단위로 할지 지역 단위로 할지는 선택의 문제)
이러한 방식은 높은 비례성을 통해 대표성을 도모할 수 있고 동시에 지역을 대표하는 의원을 선출함으로써 지역 대표성 또한 높일 수 있다.
2) 특징
정의와 의의에서 볼 수 있듯이 대표성을 높일 수 있고 단순다수제 하에서 나타나는 승자독식의 문제와 지역주의 문제를 완화할 수 있다. 더 많은 득표를 얻기 위해 정당은 유권자에 대한 반응성을 높일 수밖에 없어 국민의 목소리에 더욱더 귀를 기울일 것이다. 다만 정당의 득표 비례를 바탕으로 의석수가 결정되고 지역구 의원을 채운다는 점에서 정당 득표에 따른 의석수보다 지역구 의원이 더 많이 선출될 경우 초과의석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현재 언론에서는 의원수가 엄청 많아질 수 있다고 우려를 표하고 있다.
기존 보다 다소 복잡한 방식이기 때문에 선거 결과가 나오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나 민주주의가 질적으로 상승할 수 있다면 이에 따른 비용 문제는 감수할 만한 여지가 있다.
그리고 과거부터 지역구 선거를 해온 제도적 관성과 내가 뽑은 대표라는 인식과 결부시켜 볼 때 연동형 비례대표제는 이를 만족시키는 제도라고 할 수 있다.
선거제도의 종류, 정의- 개괄 (0) | 2019.01.05 |
---|---|
교차압력의 개념 (0) | 2018.12.29 |
석패율 제도 (정의, 장단점) (0) | 2018.12.15 |
단순다수제와 결선투표제의 적실성 (0) | 2018.10.26 |
CPI and GDP deflator differences (0) | 2018.10.23 |
석패율 제도란?
일본에서 시행된 제도로서 지역구 의석에서 떨어졌을 경우 석패율(당선자와 낙선자간의 비율)을 바탕으로 높은 순을 비례대표의원으로 당선시켜 주는 제도이다.
연동형 비례대표제라고 하는 독일식 융합형 비례대표제는 제1투표(지역구 의원), 제2투표(정당비례득표)를 통해 제2투표의 의석 비율을 바탕으로 제1투표를 채운 뒤 나머지 의석을 비례대표로 채운다.
그러나 일본에서 하는 비례대표는 병립식 비례대표로 현재 우리나라와 같은 구조이다. 즉, 지역구와 비례대표의원을 각각 따로 따로 투표하고 따로 선출하는 방식이다. 일종의 패자부활과 같은 제도이다.
장점
1) 비례대표를 확대할 경우 기존의 지역구를 바탕으로 한 의원의 당선 가능성이 적어지기 때문에 기존 의원의 반발을 완화할 수 있다.
2) 정당 열세 지역에 출마하는 의원에게 선거를 열심히 할 유인을 제공할 수 있어, 선거의 경쟁성이 높아질 수 있다.
단점
1) 거물급 혹은 유력 정치인의 손쉬운 당선을 보장하게 된다.
2) 직능적 대표를 목적으로 한 비례대표제의 취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
교차압력의 개념 (0) | 2018.12.29 |
---|---|
연동형 비례대표제란?(융합식 비례대표제, 독일식 비례대표제) 정의, 특징 (0) | 2018.12.26 |
단순다수제와 결선투표제의 적실성 (0) | 2018.10.26 |
CPI and GDP deflator differences (0) | 2018.10.23 |
구 군형법 헌법소헌 패소, 집시법 '각급 법원', 양심적 병역거부 입법부작위 외(헌법 최신판례) (0) | 2018.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