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제의 특징


1) 단일지도체제

선거에서 단 한 표라도 더 받더라도 나머지 유권자 모두를 대표한다. 선거 방식은 단순 다수제, 결선 투표제가 있다. 


2)승자 독식

단일지도체제이기 때문에 한 명을 제외하고는 나머지는 탈락하게 된다. 그래서 한 명의 대통령이 나머지 대통령 후보의 표를 가져 간다.


3) 이원적 정당성

대통령과 국회의원을 각각 선거를 통해 선출하기 떄문에 서로 다른 정당성을 갖는다.

다만, 국민 전체의 투표를 통해 당선된 대통령은 지지 기반(지역, 이념)에 따라 당선되었다고 볼 수 있는 국회의원보다 정당성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될 수 있다. 그래서 이는 위임민주주의로 발전될 위험이 있다.

또한 이원적 정당성으로 인해 교착상태가 발생할 수 이;ㅆ다. 


4)정해진 임기와 안정성

단임제, 중임제와 같이 당선 횟수가 정해져 있고 보통 4~5년 정도의 임기를 갖는다. 국가적 위기 상황이나 개인적 실추로 인해 총리의 신임 여부가 불투명하면 교체하는 내각제와 달리, 아주 특별한(위법한 사항)이 아니고서는 정해진 임기를 채우게 된다.

이로 인해 경직성과 반응성 약화가 나타날 수 있고, 임기 말이 되면 레임덕이 나타나는 현상을 볼 수 있다.


5)유권자의 인지 가능성과 책임성

내각제와 달리 대통령을 직접 국민이 선출하기 때문에 자신이 뽑는 사람이 누가 대통령이 될지 알 수 있다. 


6) 대통령직의 모호성

국민 전체를 대표하는 국가 원수로서 역할과, 행정부의 수반


7) 국외자(outsider)의 출현 가능성

기존 정당정치에 불신과 환멸을 느낀 유권자들이 제도권 밖의 인물에 대해 신선함과 선호를 느낄 수 있다. 반면 내각제의 경우 내각을 기반으로 총리를 선출하기 때문에 국외자 출현 가능성이 없다. 

국외자 출현 가능성은 대통령을 직접 선출하는 데 있다. 


기타)

의회해산권 X

내각불신임권 X <- 한국은 가능

의원, 내각 겸직 X

기관적 독립성이 강하다  

요약.

★used to : ~하곤 했다. ( 그런데 지금은 안 한다.)

be used to ~ing : ~하는 데 익숙하다 ( = be accustomed to ~ing)

★be used to 부정사 ( to 부정사의 부사용법으로 생각하고 자연스럽게 해석)

: ~하기 위해 사용되다. 



★used to : ~하곤 했다. ( 그런데 지금은 안 한다.)


<09국회8>※ Choose the underlined part that is not grammatically correct.

14.  One of the preeminent ① benefits I used to ② derive from ③ being chancellor of ④ a university was ⑤ what I had the pleasure of entering thoughtful men all over the world.



현저한 혜택 중 하나는/ 내가 얻곤 했던 / 한 대학의 총장이 되는 것으로 부터/ ⑤that 이하이다/ 내가 전세계에 사려 깊은 사람들이 들어오는 즐거움을 누리는 것/




be used to ~ing : ~하는 데 익숙하다 ( = be accustomed to ~ing)


cf. 2018/08/29 - [영어공부/영어 일반 & 영어단어] - 전치사 to로 끝나는 표현(confess to, be used to, object to...etc)


<16국7>

10.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어떤 교수의 스타일에 적응하는 데는 항상 시간이 좀 걸린다. →Time always takes little to tune in on a professor's style. ② 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기다렸다가 밤을 새우는 데 익숙해있다. →I'm used to waiting until the last minute and staying up all night. 

그 수학 문제는 너무 어려워서 그 학생이 답을 할 수 없었다. →The math question was too tough for the student to answer it. 

나는 너무 많은 시간의 힘든 일로 정말 지쳤다. →Too many hours of hard work really tired of me.




①little 부정의미 -> a little (조금)  

③ (answer it -> answer) 

2018/08/31 - [영어공부/영어 일반 & 영어단어] - to부정사의 목적어가 주어로 나가는 경우

④ tire 동사로 쓰일 경우 사람이 목적어.


<15국7>

8. 우리말을 영어로 가장 잘 옮긴 것은

이 가벼운 골프 카트는 접어서 내 차량 트렁크에 넣을 수 있다. →This lightweight golf cart will fold and fit in the trunk of my car. 

아놀드는 새로운 사업 아이디어들을 가지고 있는 소수의 젊은이들 중 하나이다. →Arnold is one of handful youngsters with ideas for a new business. 

교육문제는 사회구성원들의 합의에 바탕을 두어 해결되어야 한다. →Educational problems should solve upon the agreement of the society members. 

그 강의 시리즈는 재무 문제를 다루는 데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다. →The lecture series are intended for those who are not used to deal with financial issues.




정답: ①   (②  a handful of  ③ be solved    ④ dealing )


★be used to 부정사 ( to 부정사의 부사용법으로 생각하고 자연스럽게 해석)

: ~하기 위해 사용되다. 


This contrast is used to create a humorous effect throughout the book.

 이러한 대조는 사용된다/ 유머 효과를 만들기 위해/ 책 전반에 걸쳐/

The saying was also used to refer to the practice of using blood to finalize a contract.


     




★The +비교급 (S V) , the + 비교급 (S V)

: 더 ~ 하면, 더 ~하다


시험 관련 중요 사항은 해설에.


<16국9> 문13. 어법상 옳은 것은

Jessica is a much careless person who makes little effort to improve her knowledge. 

But he will come or not is not certain. 

The police demanded that she not leave the country for the time being. 

The more a hotel is expensive, the better its service is.




 ①much ‘훨씬’                  비교급 앞에서 강조        Im not much good at math.

           ‘많이’                형용사부사동사 강조   I much appreciate your help.

very 부사: 형용사나 부사의 원급을 강조

② whether he will come or not

③ demand that (should) not 동사원형 : 맞음

④ the more expensive a hotel is, the better its service is.

 -> 긴음절의 형용사의 비교급은 more을 붙인다. 그러므로 the + 비교급이니 expensive를 앞에 써야 한다. 

부사도 마찬가지다. 예문 참고.


※즉 시험에. the more 형용사/부사 S V, ~



★추가 예문

the sooner, the better ( 빠르면 빠를 수록 더 좋다)


The more we look for happiness outside of ourselves, the harder it becomes to find it.


The more frequently they see the words used in the stories, the more likely it is that they will remember the words.


The younger people are when they start using a brand or product, the more likely they are to keep using it for years.




<13국9>

7. 우리말을 영어로 잘못 옮긴 것은

나이가 들어가면 들어갈수록 그만큼 더 외국어 공부하기가 어려워진다

→ The older you grow, the more difficult it becomes to learn a foreign language. 

우리가 가지고 있는 학식이란 기껏해야 우리가 모르고 있는 것과 비교할 때 지극히 작은 것이다

→ The learning and knowledge that we have is at the least but little compared with that of which we are ignorant. 

인생의 비밀은 좋아하는 것을 하는 것이 아니라 해야 할 것을 좋아하도록 시도하는 것이다

→ The secret of life is not to do what one likes, but to try to like what one has to do. 

이 세상에서 당신이 소유하고 있는 것은 당신이 죽을 때 다른 누군가에게 가지만, 당신의 인격은 영원히 당신의 것일 것이다

→ What you possess in this world will go to someone else when you die, but your personality will be yours forever



정답: ② at least 적어도 at best 기껏해야

해석에서. '기껏해야'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