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정법의 일반원칙이란?

-현행 행정법질서의 기초를 이룬다고 생각되는 일반 법 원칙을 의미한다.

(평등의 원칙, 비례의 원칙, 신뢰보호의 원칙, 적법절차의 원칙, 자기구속의 원칙, 부당결부금지의 원칙, 신의성실의 원칙이 있다. 여기서는 평등의 원칙, 비례의 원칙, 신뢰보호의 원칙만 다룬다.)


평등의 원칙

-불합리한 차별을 하여서는 안 된다는 원칙이다.


평등의 원칙과 관련해서는 자의금지원칙 심사와, 비례성 심사이 있다. (헌법에서 중요)


1) 자의금지원칙에 의한 심사

-합리적 이유 없이 동일한 사항을 다르게 취급하는 것은 자의적인 것으로서 평등의 원칙에 위반된다.


2) 비례원칙에 의한 심사

-사정이 다른 경우에는 다르게 취급하는 것이 정당화될 수 있지만 비례성을 결여한 과도한 차별취급은 합리적인 차별이 아니므로 평등의 원칙에 위반된다. 

 판례: 국가유공자의 가족에게 10%의 가산점 규정


★비례의 원칙

-과잉금지의 원칙이라고도 하는데 행정의 목적과 수단 사이에는 합리적인 비례가 있어야 한다는 원칙이다.


근거: 헌법 37조 1항


비례의 원칙은 3가지 기준있다.


1)적합성의 원칙

-행정은 행정이 추구하는 목적 달성에 적합한 수단을 선택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2)필요성의 원칙

-최소침해의 원칙이라고도 하며, 적합한 수단이 여러 가지인 경우 국민의 권리를 최소한으로 침해하는 수단을 선택하여야 한다는 원칙이다.


3)상당성의 원칙

-협의의 비례의 원칙이라고 하는데, 행정의 목적에 의하여 추구되는 이익과 행정의 상대방이 입게되는 손해를 비교형량하여야 한다는 원칙이다. 


이중 어느 한 가지를 어긴다면 비례의 원칙을 위반하게 된다.


★신뢰보호의 원칙

-국민이 행정기관의 어떤 결정의 정당성 또는 존속성에 대하여 신뢰한 경우 그 신뢰가 보호가치가 있는 한, 그 신뢰를 보호해주어야 한다는 원칙을 말한다.


근거:법치국가의 원리 특히 법적안정성의 원칙에서 찾는 것이 일반적이다. 신의성실의 원칙에 근거하는 입장도 있다.


요건: 행정기관의 선행조치, 선행조치에 보호가치 있는 신뢰의 형성, 신뢰에 기초한 관계자의 처리의 존재, 인과관계 있는 신뢰, 선행행정 조치에 반하는 행정기관의 조치


한계: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과 충돌할 수 있다. 양자는 동등한 헌법적 가치이므로 비교형량에 따라 개별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반응형
반응형

★법치행정의 원칙

- 법치행정이란 행정권도 법에 따라 행하여져야 하며, 만일 행정권에 의해 국민의 권리가 침해되었다면 이를 구제하기 위한 제도가 보장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법치행정의 원칙의 핵심적인 내용을 이루고 있는 것은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이다.

행정의 법률적합성의 원칙은 오토마이어의 이론에 따라 세가지로 나뉠 수 있다.


1.법률의 법규창조력

-법률의 법규창조력이란 법규(국민의 권리의무에 관한 새로운 규율)를 정립하는 입법은 모두 의회가 행하여야 한다는 원칙 


2. 법률우위의 원칙

-법은 행정에 우월한 것이며 행정이 법에 위반되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이다.


3. 법률유보의 원칙

-법률에 근거하여 행정작용을 해야 한다는 원칙이다.


 (1)법률유보의 원칙과 관련하여 행정작용의 적용 범위에 관해 학설이 나뉜다. 

1) 침해유보설: 개인의 권익을 침해하거나 의무를 부과하는 등 개인에게 불이익을 가져오는 침해 행정의 경우에만 법률의 근거를 요하고 수익적 행정작용이나 개인의 권리나 의무에 직접 관계되지 않는 행정작용은 반드시 법률의 근거를 요하지는 않는다는 견해이다.

비판: 현대에 사회적 복지국가가 됨에 따라 침해적 작용 뿐만 아니라 급부작용 또한 중요해짐에 따라 타당성을 상실하였다.

2)전부유보설: 모든 공행정작용을 할 경우 법률의 근거를 요하는 견해이다.

비판: 모든 행정작용을 법률에 근거하여 할 경우 복잡하고 유동적인 행정이 필요한 현대사회에 제대로 행정을 할 수 없게 되기 때문에 타당성을 상실하였다.

3) 급부유보설: 사회적 복지국가에서 공정한 급부와 배려의 확보를 위해 급부행정에도 필요하다는 견해이다.

비판: 급부행정을 법률에 근거할 경우 법률유보의 범위를 확장시켜 오히려 국민의 법적 지위를 더욱 아고하실키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비판에 직면하였다.

      4) 중요사항유보설: 국민에게 중요하고 본질적인 사항들은 국회가 정한 법률의 수권을 요한다는 견해이다. 

비판: 중요하고 본질적인 사항이 무엇인지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다.


판례: 중요사항유보설=의회유보설:입법자가 그 본질적 사항에 대해서 스스로 결정하여야 한다.


(2) 결어

- 어느 한 설이 타당하다기 보다는 행정분야의 내용 및 기능과 아울러 국민의 기본권관련성 등 여러 관점에 따라 개별적으로 그리고 사안별로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법률우위의 원칙은 행정의 전영역에서 문제되고, 법률유보의 원칙은 모든 행정작용에서 문제가 되지 않는다. 

반응형
반응형

2018 지방직 9급 영어 단어 정리


2018/08/03 - [공무원 시험/공무원 영어 기출] - (2018~2009) 지방직 9급 영어 기출문제 및 정답!!


pdf 파일: 

지방직 9급-18.pdf




do no harm       해가 되지 않다                         do good           도움이 되다, 이롭다

do wrong          나쁜 짓을 하다                         do the talking    말하다, 대변하다

paramount        중요한; 최고의                         put out            (불을)끄다; 출간하다; 내놓다

get cold feet      겁먹다                                    go cold turkey    마약을 갑자기 끊다

pique               불쾌하게 하다                          engage with      ~와 맞물리다

go to bat for     ~을 변호하다; 지지하다              let go of           놓다

break up with     결별하다                                 make do with     (임기응변으로)그럭저럭 하다

elaborate          정교한; 공들인; 자세하게 설명하다 swear               맹세하다; 욕하다

sworn              맹세하는                                 out of humor     불쾌해서, 성이 나서

frightening        무서운                                    state-of-the-art  최신의

cannot help~ing ~하지 않을 수 없었다                once-in-a-lifetime 일생에 한 번의

cannot help but to ~하지 않을 수 없다                cannot but R     ~하지 않을 수 없다

get rid of          제거하다                                 let go of           내버려두다

break up with    결별하다                                 break down       고장 나다

engage with      ~와 맞물리다                           put out            불을끄다;내어 놓다;출간하다

stick one’s necks out for   위험을 무릅쓰다; 위험을 자초하다

pique               불쾌감, 불쾌감을 일으키다          advance            성공을 돕다

pique sb curiosity, interest, etc      호기심, 흥미를 불러일으키다 = intrigue

go to bat for      지지하다; 변호하다; 도와주다       do work           일하다

make up for      보상하다, 보충하다                    make up           화장하다;

distraction         주의를 산만하게 하는 것             distract             산만하게 하다

disturbance       방해; 소란                               get in the way    방해되다

maintain           유지하다; 주장하다                    scramble           재빨리 움직이다; 서로밀치다

transcend          초월하다                                 appendix           부록; 맹장

apex                정점                                       zenith              절정

empower          권한을 부여하다                        inspire              고무시키다; 영감을 주다

eliminate           제거하다                                 glorify              미화하다

Rather,             대신에=instead


5) The student who finds the state-of-the-art approach intimidating learn less than he or she might have learned by the old methods.

9) At the top, as we have seen, was the scalco, or steward, who was in charge of not only the kitchen, but also the dining room.

10) That's what piques the curiosity of advisers and sponsors.

But how hard they go to bat for you, how far they stick their necks out for you, depends on that you have to offer.

It just requires you to be an expert at something.

12) my sentences and descriptive gestures got so confusing that I communicated nothing more than a very convincing version of a human tornado. In an effort to curb my distracting explanation, the proctor led me to an empty seat and put a test booklet in front of me.

15) Even if they have a lot in their head, they have found a method that the many commitments don't impede each other, but instead they are brought into a good inner order.

Separate off disturbances, for example, by escaping into another office, and not allowing any distractions to get in the way. When you concentrate on the one task of your priorities, you will find you have energy what you didn't even know you had.

16) the number of fish reach at a predictable level of abundance and stay there.

we must be careful not to reduce the population below the ideal point which it can replace all of the fish we take out each year.

17) no event in human history was likely ever seen by a larger global audience than the 9/11 attacks.

18) the scientific establishment weighed in.

19) If neither surrendering, the two exchanged blows until one was knocked out.

The ancient Olympic events were designed to eliminate the weak and glorify the strong.

Anything else was considered fair play.

20) He solves one problem, and the result is not that he is more secure or certain, but that ten other new problems open up in place of the single solved one.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