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 more than, no more~ than, not more than, no less than, no less~ than, not less than

비슷하게 생겼지만 뜻은 약간씩 또는 완전히 다른 비교급 표현들이다.

쉽게 외우는 방법은 없다. 여러 번 반복해서 습득하는 것이 최고다.

다만,

no가 나올 경우 as로 생각하고 more, less를 반대로 바꿈. more -> little,  less -> much

not 은 't'     생각하는 게 최선이다

 독해나 작문 영역에서 나올 수 있으니 대비해야 한다.



no more than=only    ~일 뿐인   <-따로 암기

no less than=as much as  ~못지않게


He gave me no more than $5.

그는 나에게 겨우 5달러를 주었다.


He gave me no less than $500.

그는 나에게 500달러 만큼이나 주었다.


Most resumes are read for no more than a few seconds. 


대부분의 이력서는 불과 수초 내에 읽혀진다.


 

not more than = at most     많아야


not less than = at least    적어도


I think we need not more than $100 to do the work.


I think we need not less than $100 to do the work.

 

no less ~ than - :(as much  ~ as)  ~만큼 ~히다

no more ~ than - :(as little ~ as)  결코 ~하지 않다  -만큼, ~하지 않다  -하는 것처럼.


He is no less responsible for it than you are.

그는 이것에 대해 책임감이 있다. 당신만큼.


I am no more mad than you are.

나는 결코 미치지 않았다. 당신만큼.


cf) A whale is no more a fish than a horse is.

 고래는 물고기가 아니다. 말이 물고기가 아닌 것처럼.


[2018-서울시 9급 3월- 14번] In the real world, we no more appraise things /with our eyes closed /and holding our nose/ than we do/ by ignoring the brand /that is stamped on the product/ we purchase, /the look and feel of the box/ it comes in, or the price being asked.

 현실에서, 우리는 더이상 사물을 사물을 평가하지 않는다 /우리가 눈감은 채로 /우리 코를 막은 채로/ 우리가 평가하지 않는 것처럼/ 그 브랜드를 무시함으로써 / 우리가 구입하는 상품에 찍혀진/ 박스의 외관, 느낌/ 상품이 들어 있는/ 부르는 가격을




직독직해를 하지 않고 대충 단어를 보고 하다가 직독직해를 처음 시작할 경우, 해석(번역)은 되지만 이해가 안되는 경우가 많다.


 이유는.

 익숙하지 않아서 그렇다.

 

  운동이 대부분 그렇지만, 탁구에 비유하자면, 그냥 막 취미 삼아 치다가 전문적으로 치고 싶어 제대로 배우면, 오히려 실력이 떨어지는 것과 같은 것이다. 처음에 익숙하지 않아 계속 자세를 생각하고 치다 보면 자세를 유지하려는 생각이 오히려 치는 데 방해를 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계속 연습하는 것은 제대로 된 자세로 처야 나중에 더 잘 칠 수 있기 때문이다


 연습을 계속하다 보면 자세가 몸에 익어 생각하지 않고 칠 수 있는 때가 온다. 그때까지 계속 연습하며 참아야 한다


 즉, 직독직해를 뇌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일 때 까지 


 

그리고 문제를 풀 때, 모든 내용을 이해하면 푼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그리고 문제를 풀 때, 모든 내용을 기억하면서 푼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영어 텍스트를 읽을 때, 읽고 나면 앞에 부분이 기억이 안 난다고 하는데, 국어 지문을 읽는 경우를 생각해보면 답이 나온다


우리는 글을 읽을 때 다 기억하지 않고 기억할 수 없다(몇몇 능력자를 제외하고). 읽으면서 텍스트를 무의식 중에 재구성한다. 다만 이게 힘든 것은 영어를 읽을 때 영어에서 한국어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빠르게 그리고 자연스럽게 넘어가는 게 아니라 너무 많은 생각을 하기 때문이다. 이 단어가 무슨 뜻이지 문법이 뭐지, 어디랑 연결되 있지 등등의 생각. 그렇기 때문에 재구성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아예 무엇인지 모르게 된다.


 결론은 꾸준한 연습 말고는 없다.

 

 

Image result for effort

※문맥에 맞게 해석!!


so that~ so ~that:


1. so that ~: 목적, 결과(therefor, and so), 조건(if only, so long as)

~하기 위해서, 그 결과 ~이다              ~한다면                      

목적

*He got up early so that he might be in time for the train.

= He got up early so as to be in time for the train.

 그는 아침 일찍 일어났다. 기차 시간에 늦지 않기 위해.


결과 * A great storm arose, so that the ship were wrecked.

엄청난 폭풍이 일어났다, 그결과 배는 산산조각이 났다.


조건 * Any book will do, so that it is interesting.

   어떤 책이든 충분할 것이다, 그것이 흥미롭기만 하면


2. so~ that (so that 이하가 결과 부사절 )

너무 ~해서 ~하다.


* He got up so early that he was in time for the train.

= He got up so early as to be in time for the train. 

 그는 아침 일찍 일어나서, 기차에 늦지 않게 았다.



※추가 예문 (바빠 발췌)


But some of my friends think Im silly to work and save for a bike. They spend their money on electronic gadgets or buy all kinds of new clothes so that each of them can impress the others. I like those things, too. But the bike is so much more important to me that I dont mind doing without electronic gadgets and extra shirts.

  so that 구문만 해석:

그들은 그들돈을 소비한다. 전자 제품에/ 또는 산다 모든 종류의 새 옷을/ 그들 개개인이 다른 사람에게 인상을 주기 위해/

그러나 자전거는/ 나에게 너무 중요해서/ 나는 신경 쓰지 않는다 / 전자 제품이나 여분의 셔츠 없이 사는 것을 .


 

In the medical profession, technology is advancing so fast that questions of law and ethics cannot be discussed and answered fast enough.

 의학계에서는, 기술이 너무 빠르게 진보해서, 법과 윤리에 관한 문제를 토론하고 답할 수 없다. 충분히 빠르게.


The birds return every year around March, so that April is a good time to see them.

새는 매년 3월 쯤 돌아온다. 그 결과 4월은 새를 보기에 좋은 시기 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