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를 읽다 보면 우리가 알고 있는 쉬운 동사(기본동사)가 해석이 안되거나 어떻게 해야 할지 애매한 경우가 있는데, 이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표현들을 많이 익혀 두는 게 좋다.  ex) make, have, take, give

 ※ 공무원 시험의 경우 해석만 알면 된다.


 다음 표현은 make와 관련된 것인데 make 의 만들다의 뜻보다는 뒤에 있는 명사가 동사 의미를 갖는다고 생각하면 된다.



make 관련 단어.pdf


 

make an agreement : agree 동의하다

make an allowance for: allow 참작하다

make an appeal : appeal 탄원하다, 호소하다

make an attempt : attempt 시도하다

make a bet : 내기하다

make a change : change 바꾸다

make a comment : comment 언급하다

make a commitment : commit  다짐하다

make a contribution  : contribute 공헌하다

make a confession : confess 고백하다

 ex) I've got some confession to make 

make a deal : deal 거래하다

make a decision : decide 결정하다

make a difference : differ 차이를 만들다; 중요하다

make a discovery 발견하다

make an effort 노력하다

make an error(mistake) 실수하다

make an excuse 핑계를 대다

make a fuss 소란을 피우다

make a fool of ~를 우습게 만들다

make an impression 인상을 주다

make a jump 비약하다

make a leap 비약(도약)하다 

make a progress 진보하다

make a promise 약속하다

make a protest 항의하다

make a recovery 회복하다

make a reservation  예약하다

 cf) have reservations 보류하다, 주저하다

make a stand 싸우다, 저항하다

make a study 연구하다

make a success 성공하다

make a suggestion 제안하다

make trouble 문제를 일으키다

make a turn 반전하다 

make use of 활용하다  cf) make the most of ~을 최대한으로 활용화다

make a wish 소원을 빌다

알고도 해석하기 힘든 문장들.


 소위 말하는 숙어적 표현들의 경우 알고도 해석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Cf) 숙어적 표현이라고 이유는 사실 숙어가 아니기 때문이다


이유는 숙어적 표현 사이에 부사가 첨가되거나 관계대명사 바뀌어 눈에 보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이면 해석이 매끄럽지 못해 버벅거린다. 아래의 예문은 그런 문장들인데, 여러 읽고 어떻게 바뀌고 어떻게 찾아야 되는지 학습.


다음 예문을 읽고 해석하시오.

 


Developed countries and the global consumer should acknowledge the role they play in what happens in these sweatshops.


One of the tricks our mind plays is to highlight evidence which confirms what we already believe.


Participants schemas about traits like adventurousness and recklessness influenced the kind of inferences they made about Donald.


That's a risk I'm not prepared to take.


The risk is more often taken on jointly by a group of investors who then split the profits from the leases.


There is a huge initial expense, not only to acquire the properties but to assess the buildings and to remove any hazardous materials like lead-based paint. 




예문은 모두 관계대명사로 쓰여 동사와 명사가 분리되어 있다. 이를 한눈에 파악하는 연습이 필요하다.


play a role in  ~ 역할을 한다


Developed countries and the global consumer should acknowledge the role they play in what happens in these sweatshops.   (play를 놀다로 해석하지 않는다)

 선진국과 글로벌 소비자들은 인정해야 한다/ 역할을 /그들이 하는/ 이러한 노동착취현장에서 발생하는 것에 대한/

 

play a trick  ~ 속이다; ~에게 장난을 치다


One of the tricks our mind plays is to highlight evidence which confirms what we already believe.

 

make inference 추론하다

2018/02/28 - [과목별 /영어] - 기본 동사 + 명사 #make



Participants schemas about traits like adventurousness and recklessness influenced the kind of inferences they made about Donald.   (make를 만들다고 해석하지 않는다)

 

take a risk 모험을 하다(받아들이다)


That's a risk I'm not prepared to take.


Cf. [국회 9-07] The risk is more often taken on jointly by a group of investors who then split the profits from the leases.    (taken, the risk 보고 take a risk를 생각하지 않는다)

 

 make a pact 협약을 체결하다


[지방직 9-10]

A witch's power necessarily came from the pact she made with the devil.

 

Bonus

[국회 9-07] There is a huge initial expense, not only to acquire the properties but to assess the buildings and to remove any hazardous materials like lead-based paint.

 미세먼지 (fine dust)   << 영어지문에 나올 수 있으니 단어 정도는


요즘 날씨가 풀리고 다시 미세먼지가 활개를 치고 있다.

이번 겨울은 

추우면 맑은 날, 날씨가 풀리면 미세먼지 날이라는 등식이 성립하고 있다.


만약 미세먼지 관련 주제가 면접 주제로 나온다면,

 

 원인보다는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국민 생활에 끼치는 영향, 해결 방법, 그리고 

왜 미세먼지를 국가가 해결해야 하는가 정도로 나올 수 있다. 


 우선 제일 중요한 미세먼지를 국가가 왜 해결해야하는가?

 

그냥, '국민 생활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고 이를 국가는 방지해야 한다'라고 하기 보다는

헌법적 근거를 가지고 답변한다면  더 논리적인 답변이 될 것이다.

 

 즉, 헌법 제35조는 " 모든 국민은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권리를 가지며, 국가와 국민은 환경보전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라고 환경권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국가는 헌법을 수호할 의무를 가지기 때문에 도의적 관점 뿐만 아니라 헌법적 관점에서도 미세먼지 문제를 대처 해결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이처럼 면접을 할 때, 수험 공부를 하면서 배웠던 지식을 활용한다면 답변이 더욱 풍부하고 논리적으로 보이는 데 도움이 될 것 이다.



 원인 : 다양(노후 자동차)등등. 하지만 중국발 원인이라는 정황이 높다

 

문제점 

         1) 미시적: 개인의 신체에 악영향, 개인의 심리적 상태에 악영향

         2) 거시적: 국민 경제에 악영향을 끼침, 생태계에  악영향

               -근거:반도체 불량 나올라…'미세먼지와의 전쟁', 미세먼지에 끙끙 앓는 산업계

미세먼지로 인한 시계불량으로 교통사고 발생도 심하며 #, 비행기 운항이나 물류에도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 [포토] 미세먼지에 발 묶인 항공기들 


해결 방안: (창의적으로)

             1) 개인적 차원 

            2) 정부적 차원

이와 같이 답변을 할 때 또는 개인발표(PT)를 할 때, 단순히 나열식이 아니라 대분류 소분류를 통해 답변한다면 더 좋은 답변이 될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