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선거제도란 

선거와 관련된 모든 규칙을 다루는 선거법의 일부로서 투표가 의석으로 전화되는 과정과 관련된 일련의 규칙을 의미한다. 



종류



대표적인 제도를 위주로 설명


1. 다수대표제


1) 단순다수제(!위 대표제) - 득표율과 상관없이 후보 중 가장 많은 득표를 얻는 후보가 당선되는 제도이다. 따라서 과반이 아니더라도 당선될 수 있기 때문에 대표성과 정당성에서 문제점을 갖는다.


2) 결선투표제 - 일차 투표에서 일정한 조건(과반)을 넘지 못한 경우, 상위 후보를 대상으로 이차 투표를 실시하여 과반수의 지지를 통해 최종 당선자를 결정하는 제도이다. 이는 단순다수제의 대표성과 정당성의 문제를 완화시킬 수 있는 제도이다.  


3) 전면적 선호투표제(대안 투표제) - 투표자의 수만큼 유권자가 모든 선호를 표시하고 과반의 지지를 얻으면서 가장 많은 수의 득표를 얻는 후보자가 당선되는 제도이다. 



2. 비례대표제

1) 정당명부식 비례대표제

정당에서 제공한 후보명부에 대해 유권자들이 투표하여 당선자를 결정하는 선거제도


2) 단기비이양식 비례대표제


3. 혼합대표제

1) 병립식 비례대표제

현재 우리나라에서 시행 중인 1인 2표 방식(지역구, 비례대표)의 제도이다. 즉 지역구와 비례대표를 독립적으로 각각 투표하여 뽑는 방식을 말한다.

  

2) 융합식 비례대표제 = 연동형 비례대표제

2018/12/26 - [공무원 시험/그 외 과목] - 연동형 비례대표제란?(융합식 비례대표제, 독일식 비례대표제) 정의, 특징



P.S.


 현재 우리나라 선거제도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는 대부분의 학자들, 언론인, 그리고 정치인들 또한 공감하는 바이다. 정치인들 또한 공감하지만 자신의 기득권이 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선뜻 동의하지 않는다. 그러나 현재 선거제도의 개편이 국민 대다수가 공감하는 시대적 흐름인 만큼 국민들이 지속적인 관심을 갖는다면 국회의원들 또한 찬성할 수밖에 없다. 

반응형
반응형

조동사 - 동사에 도움을 주는 동사

 - 이를 통해 화자의 마음, 분위기, 시제 등 표현의 섬세함을 더해 준다.


능력 

can, could 

허가  

can, could, may, might

의무, 필요 

must, should, ought to, need 

의지, 소망 

will, would, shall, may

과거의 습관 

used to, would 

가정 

would, could, should, might 


can의 과거는 could / may 과거는 might 등등 이런 식으로 생각해서는 안 된다. 

형태만 과거일 뿐 의미는 꼭 과거가 아니다.

그러면 과거형을 사용하는 이유는?


1) 공손함을 나타내기 위해

2) 과거 의미 사용 (이 경우 전체 문맥이 과거일 경우 과거 시제 사용은 과거를 나타낸다)

3) 가정법 사용


그러면 조동사의 과거는 무엇으로 표현할까?

 

조동사 + have + p.p 로 한다. 

반응형
반응형

☆★과거의 습관을 타나내는데

used to - 현재는 하지 않는 과거의 습관

2018/09/18 - [영어공부/영어 일반 & 영어단어] - used to 총정리 (used to, be used to ~ing, be used to 부정사)


would - 현재는 어떤지 모르고 그냥 과거의 습관을 나타냄


Before moving to this place, I used to walk to work.

(지금은 걸어다니지 않음)


Whenever I felt sad, I would visit my uncle.

(지금은 모름)



☆★화용론적 관점 - 실제 전체적인 문맥(담화)에서 쓰임새


-처음에 used to를 사용하여 과거를 나타내고 그 다음 기술할 경우 would를 사용


 The bad thing was they used to laugh at us. The Anglo kids. They would laugh because we’d bring tortillas and frijoles to lunch. They would have their nice little compact lunch boxes with cold milk in their thermos and they’d laugh at us because all we had was dried tortillas. Not  only would they laugh at us, but the kids would pick fights. 


 We used to joke about him in the office. We’d call him Mr. Straight because he was Mr. Straight- a man who’d never invite me to have a drink after work. He would never invite me to lunch alone. Would never, never make an overture to me.

(Suh, 1992) 



반응형

+ Recent posts